반응형
커피는 재배 지역(원산지)에 따라 맛과 향이 다릅니다. . 크게 아프리카, 중남미, 아시아 지역으로 나눠서 알려드려요~ ^^
🌍 아프리카
1. 에티오피아 (Ethiopia)
- 대표 지역: 예가체프(Yirgacheffe), 시다모(Sidamo), 하라(Harar)
- 특징:
- 꽃 향기(플로럴), 베리류(블루베리, 라즈베리) 향
- 산미(신맛)가 선명하고 복합적
- 가끔 허브나 와인 같은 느낌도 있음
- 스타일:
- 깔끔하고 가벼운 바디, 향긋한 산미
2. 케냐 (Kenya)
- 대표 지역: 니에리(Nyeri), 키암부(Kiambu)
- 특징:
- 밝은 산미, 강렬한 과일 풍미 (토마토, 레몬, 베리)
- 묵직하면서도 깨끗한 피니시
- 당도(단맛)가 높음
- 스타일:
- 힘 있는 구조감과 탄탄한 맛
🌎 중남미
1. 콜롬비아 (Colombia)
- 대표 지역: 안티오키아(Antioquia), 위라(Huila)
- 특징:
- 부드러운 산미와 고소한 견과류 맛
- 초콜릿, 카라멜 풍미
- 균형 잡힌 맛(Balanced)
- 스타일:
- 데일리 커피로 좋음 (부담 없이 마시기 좋은 맛)
2. 브라질 (Brazil)
- 대표 지역: 미나스제라이스(Minas Gerais), 산타 카타리나(Santa Catarina)
- 특징:
- 단맛이 강하고 산미는 약함
- 견과류, 밀크초콜릿, 곡물류 풍미
- 무겁고 부드러운 바디감
- 스타일:
- 에스프레소 베이스 커피(라떼, 아메리카노)에 자주 사용
3. 코스타리카 (Costa Rica)
- 대표 지역: 타라주(Tarrazu), 트레스 리오스(Tres Rios)
- 특징:
- 밝고 깨끗한 산미
- 시트러스(오렌지, 자몽) 향
- 가볍고 명료한 맛
- 스타일:
- 상큼한 필터 커피(핸드드립)에 어울림
🌏 아시아
1. 인도네시아 (Indonesia)
- 대표 지역: 수마트라(Sumatra), 자바(Java), 술라웨시(Sulawesi)
- 특징:
- 낮은 산미, 깊고 무거운 바디
- 흙내음(Earthy), 스파이시(향신료)한 맛
- 허브, 다크초콜릿 풍미
- 스타일:
- 진하고 묵직한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추천
2. 베트남 (Vietnam)
- 대표 지역: 바오록(Bao Loc), 다랏(Dalat)
- 특징:
- 주로 로부스타(Robusta) 품종 생산
- 쓴맛이 강하고 카페인이 높음
- 땅콩, 초콜릿 풍미
- 스타일:
- 진한 아이스 커피(베트남 연유커피, 카페 쓰어다)에 사용
🏅 정리
지역 주요 특징 대표 풍미
에티오피아 | 꽃향기, 과일향, 선명한 산미 | 베리, 와인, 플로럴 |
케냐 | 밝은 산미, 과일, 단맛 | 레몬, 블랙커런트 |
콜롬비아 | 균형 잡힘, 부드러운 산미 | 견과류, 카라멜 |
브라질 | 산미 적고 단맛 강함 | 밀크초콜릿, 곡물 |
코스타리카 | 깨끗하고 상큼함 | 시트러스, 꿀 |
인도네시아 | 무겁고 흙내음 | 다크초콜릿, 허브 |
베트남 | 카페인 높음, 쓴맛 강함 | 땅콩, 초콜릿 |
커피는 원산지에 따라 이렇게 맛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서,
"오늘은 상큼한 거" → 에티오피아,
"묵직한 거" → 인도네시아,
이런 식으로 고르면 더 재밌게 커피를 즐길 수 있어요! ☕️
반응형